맨위로가기

무함마드 샤이바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함마드 샤이바니는 1451년 태어난 우즈베크의 군주로, 샤이바니 왕조를 건국하고 중앙아시아를 통일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1468년 우즈베크 울루스가 분열된 후 망명 생활을 했으며, 1496/1497년 티무르 왕조의 내부 항쟁을 틈타 세력을 확장하여 사마르칸트를 점령했다. 이후 호라산까지 진출했으나, 1510년 사파비 왕조의 이스마일 1세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사망했다. 그의 두개골은 술잔으로 사용되었다고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10년 사망 - 조르조네
    조르조네는 16세기 베네치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로, 색채와 빛의 묘사에 능했으며 몽환적이고 서정적인 화풍으로 후대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나 30대 초반에 요절했고, 《잠자는 비너스》, 《폭풍》 등의 대표작이 있다.
  • 1510년 사망 - 후안 데 라 코사
    후안 데 라 코사는 스페인의 탐험가, 항해사이자 지도 제작자로, 콜럼버스의 신대륙 항해에 참여하고 남아메리카 해안을 탐험하며 지도를 제작했으며, 특히 1500년에 제작된 세계 지도가 유명하고, 콜롬비아에서 원주민과의 전투 중 사망했다.
  • 우즈베키스탄의 역사 - 히바 칸국
    히바 칸국은 16세기 초에 건국되어 1920년까지 존속한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크 칸국으로, 초기 혼란과 수도 이전, 러시아 제국의 보호국 시기를 거쳐 소비에트 혁명으로 붕괴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와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우즈베키스탄의 역사 - 코칸트 칸국
    코칸트 칸국은 1709년 샤흐룩이 부하라 칸국에서 독립하며 건국되어 18세기 후반 최대 영토를 확장했으나, 19세기 러시아 제국의 남진과 내부 분열로 쇠퇴하여 1876년 러시아에 의해 멸망, 러시아 투르키스탄에 편입되었으며 청나라와 조공 관계를 맺고 갈등과 분쟁을 겪었다.
  • 칭기즈 칸의 후예 -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 칸
    원 순제와 기황후 사이에서 태어난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 칸은 고려 출신 어머니의 배경으로 몽골 귀족의 반대에 부딪히며 권력 투쟁을 겪었고, 명나라의 대도 함락 후 북원을 건국하여 저항했으나 실패하고 카라코룸에서 사망했다.
  • 칭기즈 칸의 후예 - 파루크시야르
    파루크시야르는 1713년부터 1719년까지 무굴 제국의 황제였으며, 사이이드 형제의 지원으로 황제가 되었으나, 그의 통치 기간은 반란과 내부 갈등, 그리고 제국 쇠퇴를 가속화시킨 정책 결정으로 특징지어진다.
무함마드 샤이바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무함마드 샤이바니
카말 웃딘 베자드가 그린 초상화 (1507년경)
전체 이름아불-파트흐 무함마드 샤이바니 칸 빈 샤부다크 술탄
출생1451년경
출생지중앙아시아
사망1510년 12월 2일
사망 장소현재의 투르크메니스탄 메르브
아버지샤-부다그
어머니아크 쿠지 베굼
종교수니 이슬람
통치 정보
통치1500년 – 1510년 12월 2일
직위우즈베크 칸국의 칸
이전 통치자셰이크 하이다르 (우즈베크 칸으로서)
후임 통치자얀 와파 미르자
가문
가문보르지긴 가문
왕조샤이반 왕조
배우자
배우자미흐 니가르 하눔
한자다 베굼
아이샤 술탄 하눔
주흐라 베기 아가
한자다 하눔
자녀
자녀무함마드 테무르 술탄
후람 샤 술탄
무함마드 라힘 술탄
군사 캠페인
주요 전투치르치크 강 전투
2차 사마르칸트 공방전
부하라 정복
3차 사마르칸트 공방전
사르-에-풀 전투
악시 전투
1차 발흐 공방전
안디잔 공방전
히사르 공방전
쿤두즈 공방전
콰레즘 공방전
코라산 공방전
2차 발흐 공방전
칸다하르 공방전
1차 카자흐 칸국 침공
2차 카자흐 칸국 침공
피루즈쿠흐 반란
마르브 전투

2. 생애

우즈베크 울루스의 통치자 아불-하이르 칸(재위 1428-1468)의 손자이자 부다크 술탄의 아들로, 1451년에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 아크 쿠지 베굼을 통해 카자흐 칸국의 카심 칸과 사촌 관계였다.[2] 샤이바니 칸의 계보는 칭기즈 칸의 아들 조치 칸, 그리고 그의 아들 시반으로 이어진다.[4]

1468년 할아버지 아불-하이르 칸이 사망한 후 우즈베크울루스가 분열되자, 샤이바니는 여러 지역을 떠돌며 망명 생활을 했다. 그러나 1496년1497년 사이 티무르 왕조의 내부 혼란을 틈타 실 강 중류 유역에 거점을 마련하고 흩어진 우즈베크 세력을 다시 모으는 데 성공했다[34]

1500년에는 사마르칸트를 점령하여 마와라 알나흐르 지역의 지배권을 확보했으며[34], 이후 부하라를 수도로 삼아 부하라 칸국의 샤이바니 왕조를 열었다. 그는 계속해서 세력을 확장하여 1503년 쿤두즈, 페르가나 분지, 타슈켄트를, 1505년에는 호라즘 지방을, 1507년에는 헤라트를 점령하여 티무르 왕조를 완전히 멸망시키고 호라산 지역까지 진출했다[34]

그러나 1508년부터 1509년까지 이어진 카자흐 칸국하자라족 원정 실패와 내부 정책의 실패로 지지 기반이 약화되었다[34]。 결국 1510년, 이란에서 새롭게 부상한 사파비 왕조이스마일 1세의 침공을 받아 메르브 근교 전투에서 패배하고 전사했다[34]。 샤 이스마일은 그의 두개골에 금박을 입혀 술잔으로 만들었다고 한다(해골 술잔)[34]

2. 1. 초기 생애와 권력 장악

1451년 샤 부다그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우즈베크 울루스의 통치자 아불-하이르 칸(재위 1428-1468)의 아들인 부다크 술탄이었고, 어머니는 아크 쿠지 베굼이었다. 어머니를 통해 무함마드 샤이바니는 카자흐 칸국의 카심 칸과 사촌 관계였는데, 카심 칸은 훗날 샤이바니 영토의 상당 부분을 정복하게 된다.[2] 역사가 카말 아드-딘 비나이에 따르면, 부다크 술탄은 장남의 이름을 술탄 무함마드 샤이바니로 짓고 '시바그'(웜우드)라는 별명을 붙였다.[3]

샤이바니 칸의 계보는 칭기즈 칸의 아들 조치 칸, 그의 아들 시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4] ''승리의 책에서 발췌한 연대기''(تواریخ گزیده نصرت‌نامه|Tavārīkh-i Guzīda-yi Nuṣratnāmachg[5])에 따르면, 그의 조상 중 한 명인 뭉크 티무르의 아내는 이스마일 사마니의 후손인 잔디베크의 딸이었다고 한다.[6] 샤이바니의 아버지 부다크 술탄은 교양 있는 인물로, 그의 명령에 따라 많은 페르시아어 작품이 튀르크어로 번역되었다.[7] 샤이바니 자신도 페르시아어와 차가타이어에 능통했다.[8]

1468년 할아버지 아불-하이르 칸이 사망하자 우즈베크울루스는 분열되었고, 그 영토 대부분은 케레이 칸과 자니베크 칸이 이끄는 카자흐 칸국으로 넘어갔다. 아불-하이르 칸의 손자인 무함마드 샤이바니는 여러 지역을 떠돌며 망명 생활을 해야 했다.

초기 샤이바니는 3,000명의 우즈베크 병력을 이끄는 전사로서, 사마르칸트티무르 왕조 통치자 술탄 아흐메드 미르자 휘하의 에미르 압둘 알리 타르칸 밑에서 활동했다. 그러나 1488년, 아흐메드 미르자가 타슈켄트를 되찾기 위해 모굴리스탄의 술탄 마흐무드 칸과 전쟁을 벌이자, 샤이바니는 비밀리에 마흐무드 칸과 접촉하여 아흐메드의 군대를 배신하고 약탈하기로 합의했다. 이 배신은 치르치크 강 전투에서 실행되었고, 모굴리스탄의 결정적인 승리로 끝났다. 술탄 마흐무드 칸은 샤이바니에게 보상으로 투르키스탄[9] 지역을 주었다. 그러나 샤이바니는 이곳에서 현지 카자흐인들을 억압했고, 이는 모굴리스탄과 카자흐 칸국 사이의 전쟁으로 이어졌다. 이 전쟁에서 모굴리스탄은 패배했지만, 샤이바니는 오히려 우즈베크인들 사이에서 권력을 강화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후 그는 술탄 마흐무드 칸의 지원을 받아 아흐메드 미르자로부터 사마르칸트부하라를 빼앗기로 결심하고 사마르칸트로 진군했다.[10]

1496년1497년 사이, 샤이바니는 티무르 왕조의 내부 혼란을 이용하여 실 강 중류 유역에 거점을 마련하고 흩어졌던 우즈베크 세력을 다시 통합하는 데 성공했다.[34] 1500년, 그는 마침내 사마르칸트를 점령하고 마와라 알나흐르 지역의 지배권을 확립했다.[34] 잠시 티무르 가문의 바부르에게 사마르칸트를 빼앗기기도 했으나, 약 3개월 만에 다시 탈환했다.[34]

이후 샤이바니는 정복 활동을 계속했다. 1503년에는 아무다리야강 상류 유역의 쿤두즈페르가나 분지, 타슈켄트를 점령했다. 1505년에는 호라즘 지방을, 1507년에는 헤라트를 점령하여 티무르 왕조를 완전히 멸망시키고 호라산 지역까지 세력을 넓혔다.[34]

그러나 그의 성공은 오래가지 못했다. 1508년부터 1509년까지 이어진 카자흐 원정과 하자라족 원정은 실패로 끝났고, 여러 왕족에게 영지를 나누어주는 분봉 정책 또한 실패하여 그들의 지지를 잃게 되었다.[34] 이러한 상황에서 이란사파비 왕조를 세운 이스마일 1세(재위 1501년 - 1524년)가 침공해왔다. 1510년, 무함마드 샤이바니 칸은 메르브 근교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이스마일 1세에게 패배하고 전사했다.[34] 샤 이스마일은 샤이바니 칸의 두개골에 금박을 입혀 술잔으로 사용했다고 전해진다(해골 술잔).

2. 2. 샤이바니 왕조 건국과 중앙아시아 통일

1468년 할아버지 아불-하이르 칸이 사망한 후 우즈베크울루스가 분열되자, 그 세력 대부분은 케레이 칸과 자니베크 칸이 지배하는 카자흐 칸국으로 흡수되었다. 아불-하이르 칸의 손자인 무함마드 샤이바니는 여러 곳을 떠돌며 망명 생활을 했다.

초기에 샤이바니는 3,000명의 병력을 이끄는 우즈베크 전사로서, 사마르칸트티무르 왕조 통치자 술탄 아흐메드 미르자 휘하에서 에미르 압둘 알리 타르칸의 지휘를 받았다. 그러나 아흐메드 미르자가 타슈켄트를 되찾기 위해 모굴리스탄의 술탄 마흐무드 칸과 전쟁을 벌이자, 샤이바니는 비밀리에 모굴 칸과 접촉하여 아흐메드의 군대를 배신하고 약탈하기로 약속했다. 이 계획은 1488년 치르치크 강 전투에서 실행되었고, 전투는 모굴리스탄의 결정적인 승리로 끝났다. 술탄 마흐무드 칸은 샤이바니에게 보상으로 투르키스탄[9] 지역을 주었다. 하지만 샤이바니는 이곳에서 현지 카자흐인들을 억압했고, 이는 모굴리스탄과 카자흐 칸국 사이의 전쟁으로 이어졌다. 이 전쟁에서 모굴리스탄은 패배했지만, 샤이바니는 우즈베크인들 사이에서 권력을 강화했다. 그는 아흐메드 미르자로부터 사마르칸트와 부하라를 정복하기로 결심했고, 술탄 마흐무드 칸의 에미르들은 샤이바니를 돕도록 칸을 설득하여 함께 사마르칸트로 진군했다.[10]

1496년 또는 1497년, 샤이바니는 티무르 왕조 내부의 분쟁을 이용하여 실 강 중류 유역에 거점을 마련하고 흩어진 우즈베크 세력을 다시 통합하는 데 성공했다[34]。 할아버지 아불-하이르 칸의 정책을 계승하여 티무르 왕조를 몰아내고자 했던 그는 1500년 사마르칸트를 점령하여 마와라 알나흐르 지역의 지배권을 확보했다[34]。 그는 무굴 제국의 창시자가 되는 티무르 왕조의 바부르와 여러 차례 전투를 벌여 승리했다.[11] 한때 바부르에게 사마르칸트를 빼앗기기도 했으나, 약 3개월 만에 다시 탈환했다[34]

1501년에는 부하라를 정복하고 그곳을 수도로 삼아 부하라 칸국의 샤이바니 왕조를 세웠다. 같은 해 사마르칸트도 다시 확보했다. 이후 세력을 확장하여 1503년에는 아무다리야강 상류 유역의 쿤두즈를 시작으로 페르가나 분지타슈켄트를 점령했다. 1505년에는 호라즘 지역을, 1507년에는 티무르 왕조의 남쪽 수도였던 헤라트를 점령하며 티무르 왕조를 완전히 멸망시키고 호라산 지역까지 진출했다[34]

초르-바크르 기념 단지, 무함마드 샤이바니 치세인 1510년경에 건설, 부하라


셰이크 만수르와의 일화도 전해진다. 샤이바니가 만수르를 방문했을 때, 만수르는 그의 야망을 간파하고 "나는 당신, 우즈베크를 보니 군주가 되기를 열망하는 것을 봅니다!"라고 말했다. 식사 후 만수르는 "식탁보가 가장자리에서 모이듯이, 당신은 국가(왕국)의 주변부에서 시작해야 합니다."라고 조언했고, 샤이바니는 이 조언을 받아들여 결국 티무르 왕조를 정복했다고 한다.

그러나 샤이바니의 성공은 오래가지 못했다. 1508년부터 1509년까지 북쪽으로 카자흐 칸국의 영토를 여러 차례 약탈했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고, 하자라족 원정 역시 실패로 돌아갔다. 또한 여러 왕족들에게 영지를 나누어주는 분봉 정책이 실패하면서 내부적인 지지 기반을 잃게 되었다[34]。 그의 군대는 1510년 카심 칸이 이끄는 카자흐족에게 큰 패배를 당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란에서 새롭게 부상한 사파비 왕조샤 이스마일(재위: 1501년 - 1524년)이 호라산을 침공했다. 샤이바니 칸은 메르브 교외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사파비 군대에게 패배하여 전사했다(1510년)[34]。 샤 이스마일은 샤이바니 칸의 두개골에 금박을 입혀 술잔으로 만들었다고 전해진다(해골 술잔).

2. 3. 대외 관계

샤이바니 칸은 오스만 제국명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었다. 1503년에는 그의 사절단이 명나라 황제의 궁정에 도착하기도 했다.[12] 또한, 오스만 제국의 술탄 바예지드 2세와 연합하여 시아파 사파비 왕조의 샤 이스마일 1세에 대항하는 정책을 펼쳤다.[13]

그러나 이러한 대립 관계는 결국 샤이바니 칸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 1510년, 사파비 왕조의 이스마일 1세가 침공해오자 샤이바니 칸은 메르브 인근 전투에서 패배하고 사망했다.[34] 그의 두개골은 샤 이스마일에 의해 금박이 입혀져 술잔으로 사용되었다고 전해진다(해골 술잔).[34]

2. 4. 종교 정책

샤이바니 칸은 민족에 따라 이란인과 튀르크인을 구분하지 않았으며, 무함마드의 하디스인 "모든 무슬림은 형제이다"라는 가르침을 따랐다.[14]

그는 예멘 출신의 권위 있는 종교 지도자 중 한 명인 아미르 사이이드 샴스 앗딘 압달라 알-아라비 알-야마니 알-카드라무티(미르-이 아랍으로 알려짐)를 후원했다. 미르-이 아랍은 샤이바니 칸의 디반 (궁정) 회의에 꾸준히 참여하고 칸의 원정에도 동행했다.[15]

샤이바니 칸은 종교 관련 저술 활동에도 힘썼다. 1507년 호라산을 점령한 직후에는 차가타이어로 "리살레-이 마아리프-이 샤이바니"라는 산문 에세이를 썼으며, 이는 그의 아들 무함마드 티무르에게 헌정되었다. 이 책의 사본은 현재 이스탄불에 보관되어 있다.[16] 또한 1508년에는 중앙 아시아 튀르크 문학어로 철학적, 종교적 내용을 담은 "바흐르 울-후도"를 저술했으며, 이 책의 필사본은 런던에 있다.[17]

2. 5. 말년과 죽음

샤이바니 칸의 말년은 순탄하지 않았다. 1509년 봄, 그의 어머니가 사망하자 사마르칸트에서 장례식을 치른 후 카르시로 이동하여 친척들과 회의를 열고 그들을 각자의 울루스(소국)로 분산시켰다. 조카 우바이다울라는 부하라로, 무함마드 테무르는 사마르칸트로, 함자 술탄은 히사르로 갔다. 샤이바니 칸 자신은 소규모 부대를 이끌고 메르브(현재 투르크메니스탄의 마리)로 향했다. 그러나 이 시기 카자흐 칸국 원정(1508년-1509년)과 하자라족 원정에서의 실패, 그리고 여러 왕족에게 영지를 나누어주는 분봉 정책의 실패로 인해 내부적인 지지 기반이 약화되고 있었다.[34]

1510년 이스마일 1세와 무함마드 샤이바니의 메르브 전투.


1510년, 샤이바니 칸이 헤라트에 머무는 동안, 사파비 왕조이스마일 1세는 샤이바니 칸의 군사적 실패와 그의 확고한 수니파 이슬람 정책에 대한 반감을 이유로 우즈베크족을 공격했다. 이스마일 1세는 서부 호라산을 침략하고 헤라트를 향해 빠르게 진격했다.

당시 샤이바니 칸은 강력한 군대를 보유하지 못했다. 이전 하자라스족과의 전투에서 기병대의 상당 부분을 잃었기 때문이다.[19] 주력 부대는 트란스옥시아나에 주둔하고 있었으므로, 그는 지휘관들과 상의 끝에 메르브 성벽 뒤에서 농성하기로 결정했다. 사파비 군대는 아스트라바드, 마슈하드, 사라흐스를 차례로 점령했고, 호라산에 있던 샤이바니의 지휘관들은 사파비 왕조의 키질바시 병사들을 피해 메르브로 후퇴했다. 샤이바니 칸은 부하라 칸국의 우바이둘라 칸과 티무르 왕조 잔존 세력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사신을 보냈다. 한편, 이스마일 1세는 메르브를 한 달간 포위했으나 함락시키지 못하자, 샤이바니 칸을 성 밖으로 유인하기 위해 거짓 후퇴를 감행했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샤이바니 칸의 부인 중 한 명인 아이샤 술탄 하눔(모굴 카눔)은 남편과 궁정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켄게시(칸의 회의)에서 후퇴하는 이스마일 1세의 군대를 추격할지 여부를 논의할 때, 지휘관들은 트란스옥시아나에서 지원군이 도착할 때까지 기다리자고 제안했다. 그러나 회의에 참석한 모굴 카눔은 칸에게 "당신은 키질바시를 두려워하는군요! 정 두렵다면 내가 직접 군대를 이끌겠습니다. 지금이 적기이며, 이런 기회는 다시 오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 이 말에 자극받은 샤이바니 칸과 지휘관들은 결국 성급하게 출전하기로 결정했고, 이는 완전한 패배와 샤이바니 칸의 죽음으로 이어졌다.[20]

메르브 전투 (1510)에서 무함마드 샤이바니 칸의 군대는 이스마일 1세의 17,000명 규모 군대에 포위되었다. 치열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우즈베크 군대는 패배했고, 샤이바니 칸은 탈출을 시도하다가 전사했다. 군대의 남은 병력 또한 대부분 전사했다.[21][22][23][34]

샤이바니 칸이 사망했을 때, 우즈베크족은 시르다리야강과 아무다리야강 사이의 트란스옥시아나 전역을 장악하고 있었다. 샤이바니 칸은 과거 사마르칸트바부르에게서 빼앗은 후, 바부르의 누이인 칸자다 베굼과 결혼했었다. 이는 바부르가 사마르칸트를 떠나는 조건 중 하나였다. 샤이바니 칸 사후, 이스마일 1세는 칸자다 베굼과 그녀의 아들을 풀어주었고, 바부르의 요청에 따라 그의 궁정으로 보냈다. 이 때문에 샤이바니 칸의 뒤는 아들이 아닌 삼촌, 사촌, 형제들이 이었으며, 이들의 후손은 1598년까지 부하라 칸국을, 1687년까지 호라즘(후의 히바)을 통치하게 되었다.

바부르의 회고록인 ''바부르나마''에 따르면, 이스마일 1세는 샤이바니 칸의 두개골을 금박으로 씌우고 보석으로 장식하여 해골 잔으로 만들었다.[24][34] 그는 연회에서 이 잔으로 술을 마셨으며,[11] 나중에 호의의 표시로 바부르에게 보내기도 했다. 샤이바니 칸의 나머지 시신 조각들은 제국의 여러 지역으로 보내져 전시되거나[11] 사마르칸트의 성문에 내걸렸다.[25]

3. 가족 관계

샤이바니는 5명의 배우자를 두었다.

이름결혼 연도비고
주흐라 베기 아가1499년–1500년술탄 마흐무드 미르자의 첩이었던 우즈베크 여인[30]
미흐르 니가르 하눔1500년 결혼 – 1501년 이혼유누스 칸과 아이산 다울라트 베굼의 딸, 술탄 아흐메드 미르자의 전 부인[30]
칸자다 베굼1501년 결혼 – 이혼우마르 셰이크 미르자 2세와 쿠틀루그 니가르 하눔의 딸, 쿠람 샤의 어머니[30]
아이샤 술탄 하눔1503년 결혼마흐무드 칸 차가타이의 딸, 무함마드 라힘 술탄의 어머니[30]
칸자다 하눔1507년 결혼하지 타르칸의 아흐마드 칸과 바디 울 자말 베굼의 딸, 무자파르 후세인 미르자 바이카라의 전 부인[31]



그는 여러 명의 아들을 두었다.

이름어머니배우자 및 비고
무함마드 테무르 술탄?첫 번째 부인은 카자크 칸 부룬두크의 딸 미흐르 술탄 하눔,[32] 두 번째 부인은 1500년에 술탄 아흐메드 미르자와 카타크 베굼의 딸 술타눔 베굼,[30] 세 번째 부인은 1503년에 유누스 칸과 샤 베굼의 딸 다울라트 술탄 하눔,[30] 네 번째 부인은 1507년에 바디 알-자만 미르자의 전 부인이었던 루카이야 아가[33]
쿠람 샤 술탄칸자다 베굼[30]
무함마드 라힘 술탄아이샤 술탄 하눔[30]



이 외에도 후람 샤, 티무르라는 이름의 아들이 언급된다.

4. 성격 및 평가

샤이바니 칸은 젊은 시절부터 역사에 대한 애정이 깊었다. 1475년에는 오스만 제국에서 들여온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생애를 다룬 책, 즉 니자미 간자비가 1194년에 쓴 ''알렉산더 로맨스''를 특별히 선물받기도 했다.[26] 중세 작가 니사리는 샤이바니 칸을 코란 학자로 평가했다.[27]

1508년에는 중앙아시아 문학 언어인 차가타이어로 철학 및 종교 저서인 ''바흐르 알-후다''를 직접 썼는데, 이 원고는 현재 런던에 보관되어 있다.[28] 샤이바니 칸은 이 책을 쓰면서 신학에 관한 여러 저작물을 참고했으며, 책에는 종교 문제에 대한 그의 견해가 담겨 있다. 그는 이슬람교의 기본 가르침인 죄에 대한 회개, 자비심 등을 강조했다. 또한 독실한 무슬림으로서 지켜야 할 의식과 일상적인 의무에 대해서도 깊은 이해를 보여주었다.[29]

참조

[1] 간행물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2] 웹사이트 Kamal-ad-Din Binai, Shaybaninameh (in Russian) http://www.vostlit.i[...]
[3] 서적 Materials on the history of the Khazakh khans of XV—XVIII centuries "Nauka" publishing house 1969
[4] 서적 Materials on the history of the Khazakh khans of XV—XVIII centuries "Nauka" publishing house 1969
[5] 서적 Scions of Turan: Illustrated epic manuscripts of the 16th-century Abū'l-Khairid Uzbeks and their cross-dynastic exchanges https://scholarlypub[...] Leiden University Scholarly Publications 2022-10-18
[6] 서적 Materials on the history of the Khazakh khans of XV—XVIII centuries "Nauka" publishing house 1969
[7] 서적 History of Kazakhstan in Persian sources Dyke Press 2007
[8] 서적 From the Khan's Oven Brill 2022
[9] 문서 This probably means [[Turkestan (city)]]. Needs check and clarification.
[10] 문서 Mirza Muhammad Haidar Dughlat
[11] 서적 The Mogul Emperors of Hindustan (1398-1707 A.D) Asian Educational Services
[12] 서적 Chinese documents and materials on the history of East Turkestan, Central Asia and Kazakhstan of the XIV-XIX centuries Almaty 1994
[13] 서적 Central Asia in World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14] 서적 On the Origin and Composition of the Uzbeks od Shaybani Khan
[15] 서적 Mikhman-nameyi Bukhoro "Nauka" 1976
[16] 간행물 Muḥammad Shaybānī Khan’s Apology to the Muslim Clergy 1994
[17] 간행물 Muḥammad Shaybanî’s Bahru’l-huda : An Early Sixteenth Century Didactic Qasida in Chagatay 1982
[18] 서적 Uzbek ulusi Т. 1992
[19] 서적 Materials on the History of Turkmens and Turkmenia М.; L. 1938
[20] 서적 Turkmenistan and Turkmens in the late 15th-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Ylym 1981
[21] 서적 The Shaybanids in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UNESCO publishers 2003
[2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nner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23]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Development in contrast from the sixteenth to the mid-nine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ESCO 2003
[24] 웹사이트 Medieval Persia 1040-1797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1-01
[25] 서적 Emperors Of The Peacock Throne: The Saga of the Great Moghuls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2007-09-17
[26] 서적 The modern Uzbeks. from the fourteenth century to the present Hoover Institution Press 1990
[27] 서적 The modern Uzbeks. from the fourteenth century to the present Hoover Institution Press 1990
[28] 간행물 Muḥammad Shaybānī’s Bahru’l-huda: An Early Sixteenth Century Didactic Qasida in Chagatay 1982
[29] 간행물 Muhammed Shaybânî’s «Bahru’l- Hudâ»: An Early Sixteenth Century Didactic Qasida in Chagatay 1982
[30] 서적 The History of Humayun (Humayun-Nama) Royal Asiatic Society
[31] 서적 The Baburnam in English (Memoirs of Babur) – Volume 1 Luzac & Co., London
[32] 서적 Timurids in Transition: Turko-Persian Politics and Acculturation in Medieval Iran https://archive.org/[...] BRILL 2007-08-30
[33] 서적 Imperial Identity in Mughal Empire: Memory and Dynastic politics in Early Modern Central Asia I. B. Tauris 2012-01-15
[34] 서적 中央ユーラシア史 山川出版社 2000-10-25
[35] 논문 16세기 중앙아시아 신흥국가들의 몽골제국 계승성 연구:우즈벡·카자흐칸국과 무굴제국의 지배계층을 중심으로 단국대 대학원 2003
[36] 서적 Medieval Christian Perceptions of Islam: A Book of Essays https://www.academia[...] Routledge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